한국 아동 비만율 3.5배 증가, 삶의 만족도는 개선: 2023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
최근 5년 사이 한국의 9~17세 아동 비만율이 3.5배나 증가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반면, 전반적인 아동의 삶 만족도는 개선되었으며, 부모와 친구 등과의 관계 형성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2023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로, 아동의 생활 실태와 정책환경에 대해 종합적으로 조사한 것입니다.
이 조사는 우리나라 아동의 삶과 성장환경 및 정책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실태를 파악해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2013년부터 시작된 이 조사는 이번이 세 번째로, 2018년 이후 5년 만에 실시되었습니다.
아동 비만율 급증, 운동 실천율은 늘어
이번 조사에 따르면, 9~17세 아동의 비만율은 14.3%로 2018년 3.4% 대비 3.5배 증가했습니다.
이는 아동 건강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비만율 증가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는 앉아있는 시간의 증가와 수면 시간의 감소가 꼽혔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주중 앉아있는 시간은 524.01분에서 635.99분으로 증가했으며, 수면 시간은 8.29시간에서 7.93시간으로 줄어들었습니다.
반면, 고강도 운동 실천율은 48.1%로 전년 38.2%보다 개선되었습니다.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상승
아동의 전반적 삶의 만족도는 7.14점으로 2013년 6.1점, 2018년 6.57점에 이어 3개년 연속 상승했습니다.
분야별로는 개인관계 7.54점, 건강 7.47점, 안전 7.4점, 동네 7.12점으로 7점을 넘겼고 생활수준 6.91점, 성취 6.89점, 미래 안정성 6.75점 순이었습니다.
2018년과 비교하면 개인관계, 미래안정성, 안전, 동네, 생활수준은 증가했고 건강과 성취 분야는 하락했습니다.
정신건강 문제 심각 아동 증가
정신건강 분야를 보면 전반적으로 개선됐으나 심각성을 보이는 아동은 오히려 증가했습니다.
9~17세 중 스트레스가 적거나 없는 비율은 43.2%, 우울 및 불안 정도는 1.77점으로 각각 전년 대비 8.7%포인트(p), 0.11점 개선되었습니다.
단,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받는 아동은 0.9%에서 1.2%로 증가했고 심각한 정도의 우울감을 경험한 비율은 4.9%, 자살을 생각한 아동은 2%가 있었습니다.
자살을 생각한 아동은 2018년에는 1.3%였습니다.
아동권리 인식 향상, 전통적 성 역할엔 거부감
9-17세 아동의 아동권리 인식은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유엔아동권리협약 권리 인지 비율은 49.5%에서 57.6%로 늘었습니다.
전통적인 성역할 동의율은 평균 1.9점으로 2018년 2.3점에 비해 낮아졌습니다.
성별로는 남아 1.95점, 여아가 1.85점입니다.
국가에서 아동에 대해 지원하고 있는 아동정책사업 중에서는 국가예방접종지원사업의 인지도(95.5%), 이용율(74.0%), 필요도(98.2%)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선·보완이 필요한 아동정책 영역으로는 아동학대·폭력예방 및 보호정책(27.4%), 방과후 아동돌봄정책(25.2%). 아동수당정책(24.4%) 순입니다.
결론: 아동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보건복지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아동의 음주, 흡연, 인지발달, 안전 등 전반적 지표와 삶의 만족도가 모두 개선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비만, 정신건강 고위험군 등 일부 악화된 지표도 있어 아동의 신체활동과 놀권리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앞으로 보건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3차 아동정책기본계획을 수립해 아동의 삶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입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께서는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2024년 주목할 만한 IT 기술 트렌드
2024년 주목할 만한 IT 기술 트렌드2024년, IT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올해 주목해야 할 주요 기술 트렌드를 살펴보겠습니다.이 글을 통해 최신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비즈니스에 적용할
orgelinfo.tistory.com